퍼블릭 존과 프라이빗 존을 뚜렷이 구분하고, 짧은 동선으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한 구조. 세련된 싱글 라이프에 맞춤 설계된 유닛.
현관에서의 동선을 최소화하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했습니다. 서브룸, 주방, 마스터룸으로 연결되는 동선을 하나로 모아 복도처럼 설계한 것이 공간 활용의 핵심입니다. 넉넉한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L자형 주방은 거실과 자연스럽게 이어져 다채로운 요리 생활을 지원합니다. 공간은 두 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뉘며, 하나는 서브룸, 주방, 거실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세탁실, 욕실, 수납공간, 침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명확히 구분된 기능은 공간을 정돈하고 유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서브룸은 서재나 취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여유로운 크기를 자랑합니다. 독립적인 생활 방식을 선호하는 이들에게 잘 맞는 유닛입니다.
총 105실 전용면적 56.42m² (17.07py) 계약면적 107.16m² (32.41py)
A-1
TYPE
총 105실 전용면적 56.42m² (17.07py) 계약면적 107.16m² (32.41py)
B
TYPE
FLEXIBLE LIVING UNIT
간결하게 설계된 마스터룸과 프라이빗 존, 거실과 자연스럽게 연결된 활용도 높은 서브룸, 두 개의 방과 두 개의 욕실로 다양한 주거 방식을 담아낸 2룸 3베이 구조의 유연한 라이프 유닛.
현대의 ‘집’은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되 생활의 흔적은 최소화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현관에 들어서면 마주하는 벽은 거실 끝까지 이어지며 프라이빗 존과 공용 공간을 분명히 구분합니다. 현관 복도에 배치된 공용 욕실과 마스터룸 내 드레스룸 및 전용 욕실은 완벽히 분리된 프라이빗 공간을 만들어냅니다.
거실로 들어서면 개방감을 강조한 설계가 돋보입니다. 아일랜드 식탁으로 구분된 주방과 거실은 넓고 효율적이며, 서브룸과 거실 사이의 슬라이딩 유리 도어는 공간 활용과 라이프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차분한 톤온톤 컬러 마감재와 우드 소재의 주방 가구는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방과 두 개의 욕실로 구성된 균형 잡힌 공간은, 변화하는 라이프사이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삶은 시간이 흐르며 다양한 층위를 만들어갑니다. 가족 구성원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성장에 따라 공간은 새롭게 재구성될 필요가 있습니다. 넉넉한 두 개의 방과 각각의 욕실은 거주자의 필요에 따라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각 방에 마련된 수납공간과 전용 욕실은 구성원이 독립적이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동선을 고려한 설계입니다.
거실 양쪽으로 펼쳐진 통창은 코너 세대만이 누릴 수 있는 개방감을 선사하며, 밝고 여유로운 생활 환경을 제공합니다.
총 21실 전용면적 69.51m² (21.03py) 계약면적 132.07m² (39.95py)
D
TYPE
MODERN & UNIQUE UNIT.
가구디자인 관점으로 접근한 주방시스템, 다른 유닛과 달리 별도로 마련한 의류 수납 동선이 생활감을 효과적으로 차단한 공간. 현대적이면서도 미니멀한 라이프스타일에 알맞은 2룸 3베이 유닛.
현관과 거실을 직선으로 연결해 채광과 환기 효율을 높인 유닛으로 중간에 ᄃ자로 배치한 주방은 문을 닫아 감출 수 있어서 미니멀한 공간 연출이 가능합니다. 아일랜드 작업대를 없애는 대신 톨장을 설치해 수납을 해결했습니다. 주방 설계는 서브룸과 별도로 마스터룸에 딸려 있는 드레스룸과 함께 거주자의 미니멀한 라이프스타일 디자인을 적극 돕습니다.
샤워룸과 화장실을 분리하면서 만들어진 탈의 공간과 밖으로 꺼낸 세면대 등은 호텔 인테리어를 연상시키는 모던한 방식입니다. 마스터룸과 서브룸이 떨어져 있는 다른 유닛과 달리 거실과 ‘알파룸’으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두 방을 가깝게 배치한 것도 커플에서 아이가 있는 3인 가족으로의 라이프사이클 변화를 염두에 둔 디자인입니다.